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Volatility
- 안드로이드
- diva
- CTF-d
- elasticsearch
- kibana
- NTFS
- 파이썬
- foremost
- InsecureBank
- frida
- igoat
- ESXi
- XSS
- SQL Injection
- Openstack
- 2018
- Suninatas
- base64
- Strings
- beebox
- MFT
- vulnhub
- Docker
- Reflected XSS
- ctf
- 인시큐어뱅크
- logstash
- otter
- lord of sql injection
Archives
- Today
- Total
Information Security
알림 메시지 수정 본문
알림 메시지 수정
- 애플리케이션의 무결성 체크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 애플리케이션을 수정/조작할 수 있는 취약점
위치
DamnVulnerableIOSApp
영향
어플리케이션을 수정/조작할 수 있다.
진단
ps 명령어로 바이너리 위치를 확인했다.
FTP로 접속해 경로에 들어가 DamnVulnerableIOSApp 파일을 추출했다.
DVIA -> Application Patching -> Show alert를 누르면 I love Google 문구가 나타난다.
I love Google을 I like google로 문자열을 변경했다. 다시 FTP를 이용해 파일을 업로드했다.
DamnVulnerableIOSApp 파일의 권한을 755로 변경했다.
그림 12-3과 다른 I like Google 문구가 나타났다.
'모바일 > iOS DIVA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런타임 조작 (0) | 2019.11.21 |
---|---|
탈옥탐지 미흡(우회) (0) | 2019.11.21 |
URL Scheme를 통한 호출 (0) | 2019.11.21 |
Cross Site Scripting (0) | 2019.11.21 |
키보드 로그를 통한 데이터 유출 (0) | 2019.1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