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SQL Injection
- Docker
- elasticsearch
- beebox
- 안드로이드
- Reflected XSS
- Openstack
- CTF-d
- kibana
- Volatility
- 2018
- lord of sql injection
- 파이썬
- base64
- 인시큐어뱅크
- Suninatas
- InsecureBank
- otter
- MFT
- XSS
- logstash
- ctf
- diva
- foremost
- frida
- ESXi
- igoat
- NTFS
- Strings
- vulnhub
- Today
- Total
Information Security
패킷 내의 숨겨진 암호를 찾아내자. 본문
[문제 제시]
기밀문서의 암호를 동료에게 전달을 받았다.
노출이 되면 안 되는 암호이기 때문에 서로 약속을 했다.
동료는 아래와 같은 힌트와 파일을 하나 남기고 사라졌다.
10.7.9.1.8.2.5.4.6.3
check01.pcapng 파일을 열어보면 TCP 통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.
[Statistics] -> [ProtocolHierarchy] 메뉴를 보시면 Transport Layer Security 통신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.
[Statistics] -> [Requests] 메뉴에 들어가도 별다른 정보를 알 수 없다.
[Statistics] -> [Capture] 메뉴에서 캡쳐 파일의 요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 Captured 파일이 2011개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Packet Comments
Frame 97: *
Frame 101: *
Frame 103: *
Frame 105: *
Frame 107: *
Frame 110: *
Frame 111: *
Frame 114: *
Frame 117: *
Frame 121: *
해당 Frame 번호의 패킷을 Comment 설정 후 해당 패킷만을 필터링을 해서 보이게 했다.
Frame의 숫자에 맞게 아스키 코드표를 확인했다. 여기서 힌트를 보면 10.7.9.1.8.2.5.4.6.3 글자의 순서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Frame 97: * => a
Frame 101: * => e
Frame 103: * => g
Frame 105: * => i
Frame 107: * => k
Frame 110: * => n
Frame 111: * => o
Frame 114: * => r
Frame 117: * => u
Frame 121: * => y
정답: youarekin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