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리 메뉴

Information Security

윈도우 부팅과 시스템 프로세스 본문

포렌식/윈도우 포렌식

윈도우 부팅과 시스템 프로세스

HackingPractice 2020. 12. 21. 11:37

 

그림 1-1 윈도우 운영체제 구조

시스템 프로세스(시스템 지원 프로세스)

  •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함
  • 유저 모드에서 동작하는 중요한 프로세스

시스템 프로세스의 특징

  • 윈도우 시작 프로세스
  •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핵심 부분을 담당
  • 커널과 연결되는 서브 시스템을 구동하거나 관리

주요 프로세스

  • smss.exe, csrss.exe, winlogon.exe, lass.exe, servcies.exe

그림 1-2 프로세스

depends 프로그램을 이용해 EXPLORER.exe 프로그램은 GUI 환경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
그림 1-3 GUI

depends 프로그램을 이용해 CMD.exe 프로그램은 Console 환경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
그림 1-4 Console

PEview 프로그램을 이용해 notepad.exe 프로그램을 보면 IMAGE_OPTIONAL_HEADER에서 Subsystem을 보면 GUI 환경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.

그림 1-5 PEview

010 Editor 프로그램을 이용해 notepad.exe 13C 주소로 이동했다.

그림 1-6 010Editor

01 00 00 80 주소로 변경하였다.

그림 1-7 13C

notepad.exe 프로그램 실행 시 에러 메시지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.

그리 1-8 에러 메시지

 

smss.exe

  • session Manager Subsystem의 약자
  • 커널 생성 후 최초로 생성되는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세스
  •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

Csrss.exe

  • Client-Server Runtime Subsystem
  • Smss가 로드하는 3개의 서브시스템 중 하나
  • 윈도우 서브시스템이라고도 불림
  • 프로세스와 스레들을 관리

Winlogon.exe

  • 사용자의 로그인을 지원하는 프로세스
  • 보안 인증을 담당하는 Lsass.exe 실행
  • 서비스를 관리하는 SCM 실행
  • 유저 로그인 동작을 위해 GINA를 호출하는 등
  • 로그온, 로그오프 관련 기능을 수행

Winint.exe

  • 비스타 이후부터 새롭게 생성된 시스템 프로세스
  • smss에 의해 실행
  • 윈도우 세션 0을 생성하는 역할
  • Winlogon.exe는 사용자 세션(세션 1)로 변경
  • 세션 0은 SCM, LSA를 로드

Lsass.exe

  • 사용자 인증과 관련
  • 유저모드 프로세스
  • 시스템의 보안 정책, 사용자 인증, 이벤트 로그에 보안 감사 메시지 전달 등 윈도우의 보안 처리를 담당

Services.exe

  • 부팅 시 Winlogon
  • 서비스의 시작, 중지와 같은 서비스들과 상호 작용을 담당
  • 상태 정보를 서비스 관리 도구에는 전달하는 등의 단순 서비스 제어 역할
  • 로그온 없이 부팅 중 자동 실행
  • 로그온 이후 서비스 수동 조작
  • 드라이버도 실행 가능
  • 일부 서비스는 %Systemroot%\System32\svchost.exe에 의지하여 실행

'포렌식 > 윈도우 포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TFS MFT  (0) 2020.12.22
파일시스템  (0) 2020.12.21
MBR  (0) 2020.12.20
EPROCESS  (0) 2020.12.20
보안 메커니즘  (0) 2020.12.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