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Volatility
- vulnhub
- elasticsearch
- base64
- kibana
- Strings
- igoat
- frida
- lord of sql injection
- 인시큐어뱅크
- SQL Injection
- NTFS
- XSS
- 2018
- ESXi
- Openstack
- Reflected XSS
- 안드로이드
- beebox
- CTF-d
- ctf
- InsecureBank
- foremost
- 파이썬
- Docker
- otter
- Suninatas
- diva
- logstash
- MFT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SQLite (2)
Information Security

filescan을 이용해 Chrome의 History 파일을 찾았다. dumpfile을 만들었다. DB Browser for SQLite를 이용해서 DB 파일을 열어 보았다. site_url 이라는 칼럼이 존재하는데 아래의 쿼리문을 입력했다. strings 명령어를 통해 @mail.com 검색했다. mail.com에 접속해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.
CTF/2018 Otter CTF
2020. 7. 29. 11:12

Core Data Storage - 주요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함으로써 발생하는 취약점 위치 BA73E8E9-9A22-4D3D-AB05-5E52E!D90A71/Documents/CoreData.sqlite 영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. 진단 Username 부분에 i2sec Password 부분에 1234를 입력해 보았다. 그림 2-1처럼 입력한 결과 Failed 메시지를 보여준다. /var/mobile/Containers/Data/Application 위치에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. 최근 변경된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find 명령어를 사용했다. Sqlite3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열어본 결과 John@test.com, coredbpassword를 확인..
모바일/iOS igoat 분석
2019. 11. 19. 20: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