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Openstack
- Volatility
- XSS
- ctf
- frida
- vulnhub
- foremost
- elasticsearch
- NTFS
- ESXi
- CTF-d
- kibana
- Reflected XSS
- 안드로이드
- MFT
- 인시큐어뱅크
- Strings
- 2018
- Docker
- diva
- InsecureBank
- base64
- logstash
- beebox
- igoat
- Suninatas
- otter
- lord of sql injection
- SQL Injection
- 파이썬
- Today
- Total
목록User-Agent (2)
Information Security

해당 파일의 PE구조를 확인하면 PK 압축파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. 해당 파일의 dex -> jar 파일로 디컴파일 했다. jd-gui 프로그램을 이용해 소스코드를 확인했지만 key 값이 보이지 않았다. Uri.parse("http://www.suninatas.com/Part_one/web25/chk_key.asp?id=" + paramAnonymousView.toString() + "&pw=" + ((Editable)localObject).toString() + "&Name=" + str1.toString() + "&Number=" + str2.toString())); 소스코드를 확인하면 id, pw, Name, Numver가 필요하다. id, pw는 계정일 것 같고 Name, Number만 구하면..

그림 1-1처럼 User-Agent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. Plus 버튼을 클릭 시 포인트의 값이 1씩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. 소스코드의 내용을 확인해보니 50 point 값과 SuNiNaTaS라는 힌트를 확인할 수 있다. 계속 클릭을 시도해 포인트 값을 25까지 만들었다. 그림 1-4처럼 포인트 값을 25로 만들었더니 "I like the SuNiNaTas brower!"라는 경고창을 확인할 수 있다. 그림 1-4처럼 User-Agent 값을 SuNiNaTaS로 변경 후 포인트 값을 50까지 만들었다. 그림 1-6처럼 Auth key 값을 확인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