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Reflected XSS
- lord of sql injection
- elasticsearch
- MFT
- Suninatas
- 인시큐어뱅크
- Openstack
- otter
- vulnhub
- 2018
- 파이썬
- diva
- igoat
- base64
- Volatility
- kibana
- ESXi
- NTFS
- ctf
- Strings
- logstash
- CTF-d
- Docker
- beebox
- InsecureBank
- 안드로이드
- foremost
- SQL Injection
- XSS
- frida
- Today
- Total
목록Volatility (18)
Information Security

Volatility를 이용해 gistack imaginfo를 확인했다. gistakc pslist 파일을 저장했다. 프로세스들이 동시에 비슷한 시간에 빠르게 실행되고 죽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mimikatz.exe는 윈도우 계정 정보가 평문으로 저장된 것을 가져오는 프로그램이다. (문서형 악성코드) 웹 서버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. pstree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다. 웹 서비스에 cmd.exe가 실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. 어떤 것에 의해서 시스템 명령어(RCE)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. powershell을 통해 명령어를 실행 해 계정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알 수 있다. sysmon.exe 통합적인 로그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. filescan를..

볼라티릴티 설치 후 imageinfo를 확인했다. imageinfo를 통해 Win7SP1x86를 확인한 내용 입력 후 IP와 port를 확인하기 위해 netscan 명령어를 사용했다. 프로세스를 확인하기 위해 pstree 명령어를 사용했는데 cmd에서 notepad.exe 실행한 것을 알 수 있다. cmd에서 어떤 행동을 했는 지 확인하기 위해 cmdscan을 실행했다. 데이터 복구를 위해 R-Studio 프로그램을 설치해 cmdscan 한 경로를 확인한 결과 ScreetDoumen7.txt 파일을 확인했다. ScreetDoumen7.txt 파일에서 FLAG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. Key is "4rmy_4irforce_N4vy" Q1 : IP 주소 - 192.168.197.138 Q2 : 파일 명 - ..